2009년 9월 6일 일요일

[펌]윈XP 가볍게 쓰기

출처 : 파코즈 - 장**님의 강좌 팁!! (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3188&cstart_page=0 )


----------(원문)--------------------------------------------------------


아직도 저사양으로 XP 돌리고계시는 파코즌에게 저만의 XP 최적화에 관한팁 소개 합니다.

그런데 비스타와 윈도우7 에서도 똑같이 적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저는 XP 를 쓰기 때문에 XP위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그닥 필요없는 폰트 는 지웁니다.

나머지 윈도우에 기본으로 깔리는 폰트들은 필요 없을 듯....


1. 굴림 & 굴림체 돋움 & 돋움체(True Type)
2. 바탕 & 바탕체 궁서 & 궁서체(True Type)
3. Arial(True Type)
4. Franklin Gothic Medium(True Type)
5. Franklin Gothic Medium Italic(True Type)
*  Gulim & GUlimChe &
6. Microsoft sans serif(True Type)
*  MingLiu & PMingLi
7. Modern (all res)
8. Ms Gothic & PGothic & MS UI Gothic(True Type)
9. Ms Dos CP 437-949
10. Script (all res)
11. Simhei(True Type)
12. Simsun & NSimsun(True Type)
13. Tahoma(True Type)
14. Tahoma Bold(True Type)


윈도우는 처음 설치를 막 끝낸후에 최소 700MB이상이 필요없는 파일들입니다.

윈도우는 설치시에 다음 폴더

 

C:\Windows\Driver Cache\i386
C:\Windows\System32\Dllcache

 

에 라이브러리와 캐비넷 파일을 전부 복사합니다. 왜냐하면, 나중에 장치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윈도우 구성요소를 복원하거나 설치할때 사용하기 위함인데........

이걸 굳이 떠안고 있을 필요가 없을것 같습니다.

윈도우CD 한장 정도야 아마 다 가지고 계실테고.. 설사 없다고 해도 네트워크만

가능하다면 DLL/OCX같은 파일이야 얼마든지 다운로드가 가능하지요.
만약 필요하다면 i386폴더에 Driver.cab/sp2.cab 혹은 /sp3.cab 두개의 파일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숨김파일 표시후에 C:\Windows\Driver Cache\i386 에서 Driver.cab/sp2.cab 혹은 /sp3.cab 두개의 파일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다 지웁니다.

다음엔 보호된 운영체제파일 숨기기 체크아웃 후에

C:\Windows\System32\Dllcache 로 갑니다.

이것은 시스템 복원에 쓰이는겁니다.

시스템 복원 서비스를 끄고 않쓰시면 (고스트나 트루이메지 쓴다면)

전체선택후에 제거 합니다.

제거중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그러면  아니오 선택후에 계속 진행 하면 됩니다.

그러면 일부 프로그램관련 파일만 남고 다 제거 됩니다.

제거후 보기->아이톤 정렬 순서->자동정렬 로 아이콘을 정렬해 줍니다.

 


 


C: 윈도우에서 필요없는 배경 이미지를 선댁해서 삭제 합니다.
보기에서 ->아이콘 정렬->형식 으로 표시하면 쉽게 ㅊㅏㅊ을수 있습니다.

 



숨김파일 표시후에 Documents and Settings--> SendTo 로 가서  

다음 세가지 를 삭제하고 내그림과 메모장 을 붙여넣기 해서 추가 합니다.


시작-->실행-->Regedit 입력

 화면색 구성표를  삭제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면구성표는 극히 일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수의 색 구성표를 놔둘 필요가 없습니다.

편집기의 왼쪽 선택에서 `HKEY_CURRENT_USER` 항목을 더블 클릭 한 후 하위 항목이 나타나면 `Control Panel `-`Appearance`-`Schemes`로 이동한 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가지색, 겨자색, 고대비 등의 색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파일을 삭제하듯 삭제하세요


저는 윈도우 표준과 고전 하나씩만 남기고  특대와 대를 다른것과 함게 다 지웁니다.

 


언어 설정 값 삭제 : 키보드 설정과 마찬가지로 언어 설정도 삭제하도록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의 언 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삭제하도록 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Nls`-`Locale`
로 이동합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언어 설정값을 제외하고 지웁니다.

저는 영어와 한국어만 남기고 삭제 했습니다.
[예: 영어(409)와 한국어(412)]
(InstallLanguage"="0412")
이렇게 해주면 시스템 리소스가 `90%`이상으로 올라간다고 합니다^^*..





 


이런식으로 키보드 설정 값도 삭제 합니다.

특별한 사용자가 아니라면 한국과 미국 이외의 키보드 값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다른 여러 나라들에 대한 키보드 설정값은 지워도 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s`

으로 이동한 후 한국어와 한국어 입력 시스템 그리고 미국 영어를 제외한 모든 키보드 설정 값 폴더를 삭제합니다.

한국어는 뒷 세자리가 412이며 미국어는 409가 붙습니다.

 E0010412는 한국어 입력 시스템이므로 지우면 않됩니다 

이외의 모든 키보드 설정값은 삭제합니다.




필요없는 윈도우 서비스를 정지 시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 서비스는 정지 시킵니다.

 

컴을 혼자 쓴다면 Computer Browser 는 정지 시킵니다.

 

그밖에 Error Reporting Service

(말썽 부리는 서비스와 응용프로그램 오류가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낱낱이 적어서 마이크로소프트에 보고 합니다)

 

IMAPI CD-Burning COM Service
네로 버닝롬과 같은 리코딩 소프트웨어를 따로 쓴다면 전혀 쓸모없는 서비스 입니다.

 

Remote Registry Service
원격 이용자가 내 PC에서 레지스트리 설정을 바꾸게 합니다.

 

System Restore Service
시스템 복구 지점을 만들고 필요한 경우 해당 지점으로 복구 합니다.

이 서비스도 많은 자원을 차지합니다.

 

서비스가 자동일 경우 먼저 서비스를 1, 중지 2, 사용않함 3, 확인 합니다.

 

 


그밖에 업데이트 후에 숨김파일 표시하고 보면 C:\WINDOWS내에 있는 "$NtUninstall....$"식의 폴더가 처음에 많이 보일겁니다.

몽땅 지우셔도 됩니다.

윈도 업데이트한후에 생긴 언인스톨 파일인데 보통의 경우 업데이트의 내용을 지우는 일은 거의 없으니 다 지웁니다.

 

 

 

 

이팁을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no=10175&category= 의 행복한 윈도우 사용하기 와 연동해서 적용하시면 아주 좋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