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8일 화요일

Javascript : 숫자관련 숫자만입력_콤마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할때 유용하게 쓰일수 있는 팁이라서 올린다.

[초기값 한글/영문으로 지정하기]
<input type="text" name="m_name" style="ime-mode:active;"> //초기값이 한글자판
<input type="text" name="m_id" style="ime-mode:inactive;"> //초기값이 영문자판



[숫자 및 특수문자 허용]

// 숫자만 입력받는다. 특수문자('-','.',...)도 허용한다.
function onlyNumber() {
if((event.keyCode > 31) && (event.keyCode < 45) || (event.keyCode > 57)) {
event.returnValue = false;
}
}

// 숫자만 입력받는다. "-"도 받지않는다.
function onlyNumber2(loc) {
if(/[^0123456789]/g.test(loc.value)) {
alert("숫자가 아닙니다.\n\n0-9의 정수만 허용합니다.");
loc.value = "";
loc.focus();
}
}

사용예제) - 주민번호나 전화번호 경우
<input name="jumin2" value="" type="text" size="7" maxlength="7" onKeyPress=onlyNumber() onBlur=onlyNumber2(this);>

// 숫자에 3자리마다 "," 콤마 찍어주기
for(j=1;j<=3;j++) {
    var mm
                           
    var loop=Math.ceil(mm.length/3);
    var offset=mm.length%3;
    if(offset==0) offset=3;
    var ret=mm.substring(0, offset);
                           
    for(i=1; i<loop;i++) {
        ret+=","+mm.substring(offset,offset+3);
        offset+=3;
    }
    return ret;
}



b=String(숫자형변수);   // 이렇게 되면 b가 number 타입이 되구요
c=Number(b); // 다시 숫자형으로 바꿀려면 이렇게

숫자->문자 var s1=String(p1);

문자->숫자 var n1=Number(p1);

숫자변수 = parseInt('123456');  //자바스크립트 문자를 숫자로 형변환 함수

자바스크립트의 4가지 자료형 (정수형,실수형,문자형,논리(boolean)형.null 형)
*************************************************************************************

수치자료형(정수형과 실수형이 있다)
1.정수형(결과는 모두10진수로 표현된다)

var a; //a는 자료형이 없다
a=10; //정수
a=-10;
a=012; //8진수입력
a=0xa; //16진수 123456789abcdef->10

<SCRIPT LANGUAGE="xxJavaScript">
document.write(012+"<br>")   //8진수 12는 10진수로 10이다.
document.write(0xf+"<br>") //16진수 f는 10진수로 15이다
</SCRIPT>


2.실수형

a=10.1; //실수
a=1.2E-10; //(지수형식) 1.2*10^-10 지수표현법(아주크거나 작은수를 표현하는 방법)

<SCRIPT LANGUAGE="xxJavaScript">
/* 변수 r에 120000000을 1.2E+8로 표현하여 저장한다*/
r=1.2E+8
document.write(r) //120000000으로 출력이 된다
//-->
</SCRIPT>

<SCRIPT LANGUAGE="xxJavaScript">
//실수계산에서 근사치 결과가 발생하는 경우
a=10
b=5.444
result=a+b;
document.write("결과는: " +result);
//-->
</SCRIPT><BR>

3.문자열 자료형
" " ' '안에 자료는 모두 문자열로 처리한다
a="100"; //문자열
a='10'; //문자열
원래의 문자로 출력하고 싶으면
a="1\"0\"0";

<SCRIPT LANGUAGE="xxJavaScript">
//출력결과와 같이 이중따옴표(")가 출력된다
document.write("\"이중따옴표\"의 출력을 보여주는 예제입니다<BR>");
//출력결과와 같이 단일따옴표(')가 출력된다
document.write("\'단일따옴표\'의 출력을 보여주는 예제입니다<BR>");
//-->
</SCRIPT><BR>

4.불리언자료형
참과 거짓값으로 논리적인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불리언 자료형
<SCRIPT LANGUAGE="xxJavaScript">
a=false;
if(a)
document.write("true");
else
document.write("false");
</SCRIPT>

/********************
변수사용방법
*********************/
1.var를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변수에 자료를 할당하기만 하면 변수로 선언되어 사용된다
var xx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정수형 변수이다
var pi=3.14159 //pi는 실수형 변수이다
var name-"홍길동"  //name은 문자열변수이다
var bool=false //bool은 불리언 변수이다
-어떤 자료형의 값을 갖게 될지 모를 때는 null값으로 초기화 해준다.
var empty=null //emtpy는 null값을 갖는 변수이다


2.묵시적인 형변환
<html>
<head>
<script language="xxJavaScript">
 // 자동 형변환의 예
    jungsu = 5;
 silsu = 10.5;
 bool = true;
 string = "문자열";
 /*정수 변수인 jungsu는 실수 변수인 silsu와 더하여져 자동으로 정수형 변수로 변환된다. */
 jungsu = jungsu + silsu; // 5+10.5
 /*실수 변수인 silsu는 정수, 문자열, 실수 그리고 불리언 변수와
                               + 기호에 의해 연결되면 문자열 변수로 자동 형변환된다. */
   silsu = string + silsu + bool;

                               document.write( jungsu + "<br>");
                              document.write( silsu);
</script>
</head>
</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